to
or 프론트 엔드 개발
왜냐면 기획이라는 파트가 있기 때문임
https://blog.generalassemb.ly/what-type-of-design-is-right-for-you/
Graphic / Visual / UX designers 차이에 대한 통상적 설명
국내에서는 전략기획이라고 많이 부름, 마케팅이며 컨셉, 비즈니스 플랜 등이 해당한다
국내에서는 PM 이라는 기획자 출신 또는 실무에서 손 뗀 개발자 출신의 중간관리자가 많이 한다.
Information
Architect
Interaction
Designer
User
Researcher
wireframe
sitemap
task flow
navigation design
일단 논외..
interaction design
information architect
본인은 출판사와 관계가 없습니다
그래서 어디서 부터 뭘 어떻게 접근할것인가?
ux 디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오늘은
와이어 프레임은 다음 시간에...
예시를 볼까요
로그인 프로세스
이점 1. flow chart(task chart) 보다 클라이언트와 소통하기 쉽다.
이점 2. 페이지 별이므로 디자인 견적 산출에 용이하다.
정답도 없고
표준도 없다
다만 관습만이 있을뿐...
따라서 최적화된 양식을 만들 필요가 있다
메인페이지의 주요 네비게이션의 페이지를 보통 1 depth로 본다.
주요 네비게이션 = 대메뉴 = Global Navigation Bar
또한 마이페이지 및 회원가입 메뉴도 보통 메인페이지의 주요 네비게이션에 포함되므로 보통 1 Depth로 본다.
유저 시나리오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모든 경우의 수(유저의 선택 및 다양한 결과)와 연관이 있다.
대규모 서비스일 수록,
유저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기능이 많을 수록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최소한 3가지의 경우를 생각해야 한다.
어드민 유저 / 일반 유저 / 비유저(로그아웃 및 비회원)
하지만 유저의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해질 수 있다.
ex ) 소셜로그인 회원, 옵션정보 미입력 회원, 유료서비스 사용 회원, 기업회원... etc...
보통 Depth를 기준으로 Page ID를 가지게 된다.
기준은 정하기 나름.
0.0.0 = 보통 서비스의 메인페이지일 것이다.
2.0.0 또는 B.0.0 = 대메뉴 중 하나의 리스트 페이지일 것이다.
1.1.0 또는 A.1.0 = 대메뉴의 리스트 페이지 다음의 상세 페이지일 것이다.
2.1.3 또는 B.1.3 =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 입력을 위한 필드 또는 그 안에 또 무슨 페이지 등의 단계...
사이트 맵과 달리 페이지별이 아닌,
개발 이슈로 구분되는 기능 덩어리의 정의
복잡한 ver...
1. 같은 기능이 여러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ex) 댓글기능
2. 등록 / 조회 / 수정 / 삭제를 CRUD라고 한다.
Create / Read / Modify / Delete
3. 잘 모르겠는 기능은 개발자와 상의한다. 사이트맵이 디자인 공수라면, 기능정의서는 개발 공수 그 자체이다.
4. 기능정의서는 회의록처럼 매 미팅이 끝나면 남기고, 클라이언트와 개발사 양측의 합의를 보도록 한다.
5. 최대한 상세하게 기능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고(개발자와 상의),
와이어 프레임을 그릴 때는 기능정의서와 사이트맵 모두를 참조한다.
골딕 기능정의서를 볼까요
로 하도록 정하겠습니다.
모펜을 정의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