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제주도내 지역을 얼마나 알고있나요?

어데메 🗺️🔍

사진과 캡션을 활용하여 제주도의 다양한 위치를 맞추는

여행지 게이미피케이션 경험 제공 웹 서비스

김무훈, 지다원, 이원석

심볼 원본 (MIT 라이선스): https://github.com/ohmyjeju-painkiller/design

브랜딩 소개

"어데가 있나 찾엉 봅써!" ➡️ 어데메

  • 위치를 찾아가는 재미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고자 지은 이름
  • 제주어 특유의 친근함과 구수한 느낌을 살리면서, "어디에 있지"를 제주어 느낌으로 표현
    ℹ️ 제주어는 말끝에 '엉'이나 '와' 등 어미를 줄이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아이디어 소개 💡

  • 제주도 내 여행 장소의 사진과 설명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얼마나 빠르게 맞출 수 있는지를 겨루는 게임 경험 기반 관광 정보 제공 게임
  • 📍제한 시간 내에 검색 없이 특정 위치를 찾아 마킹해야 합니다.
  • 🎯 이번 캡스톤 기한 내에 싱글 플레이 웹 서비스 구현이 목표입니다.
    • 시간 상 미정인 또 다른 목표: 다른 사용자와 동시에 겨루는 대전 기능

비슷한 분야의 유명 서비스: GeoGuessr 🗺️

전 세계의 랜드마크, 도시, 도로 등의 장소를 구글 스트리트 뷰로 보여주고 위치를 찾는 지리학적 요소가 포함된 게임입니다.

십여년 넘게 국제 대회가 열릴 만큼 유명한 서비스

게임 인터페이스 소개

  1. 지역 선택 🗺️
  2. 장소 대표 이미지 🏞️
  3. 이미지 설명
  4. 제한 시간 표시 프로그래스바 ⏳
  5. 마커 컨트롤 📍
  6. 위치에 대한 힌트, 틀릴 때마다 나타남 💬
  7. 맞춘 위치에 대한 마커 및 정보 팝오버

맞춘 뒤/타임 오버 인터페이스 고민 중 🤔
(여행지 상세 정보나 점수 리더보드 보여주기)

게임 인터페이스 소개

기획 동기

  • 여행지 추천의 어려움
    저는 제주에서 태어나고 평생 자랐지만, 아직도 제주에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도외 지인들이 제주도의 관광지나 명소를 물어볼 때, 제가 제주에서 여행지를 가본 기억이 오래되어 추천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 제주 토박이도 모르는 제주
    이렇게 제주 지역에 대한 정보와 경험이 오래된 저로서는, "내가 과연 제주도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어 이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 타겟 사용자
    • 지역 주민: 제주도민으로서 제주도를 새로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관광객: 새로운 방식으로 제주도를 탐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참여형 게임

🎯 제주도 내 관광지와 점포 등 다양한 여행 장소에 대한 방문 경험을 테스트하고 증진하는 게임

게임 인터페이스 제작 도구 - Figma

 해당 게임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할 데이터 출처 - 비짓제주

제주관광공사 주관 관광정보 제공 웹 사이트

여행지(관광지, 점포, 시장), 매년 행사 정보 등을 제공

  • 비짓제주 OpenAPI 에서 제공하는 여행지 정보
    • 대표 등록사진
    • 위도, 경도
    • 대표 해시태그

추가 정보 사용 허가를 위한 문의

제주시/서귀포시 등 지역별 세부 조회, 장소 설명, 추가 이미지 등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가 해당 API에 누락되어 있어 문의를 했습니다. (다음 슬라이드 참고)

요약 - 추가 정보 사용 허가를 위한 문의 답변

  1. 응답에 장소 설명, 추가 이미지 제공 문의
    저작 관련 문제로 제공하지 않고, 이미 제공하고 있는 대표 이미지만 사용 가능합니다.
     
  2. 요청에 지역별 조회 쿼리 제공 문의
    지역별 정보 제공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3. 반영이 어려운 경우 원본 데이터 덤프 제공이 가능한지
    공공데이터 포털을 참조 바랍니다. ➡️ 직접 찾아본 결과 필요한 정보가 있는 공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4. 직접 웹 스크래핑에 대한 사전 허가 문의
    웹 스크래핑을 시스템 상 차단하지 않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습니다.

 

필요한 주요 정보에 대해 비짓제주에서 제공하지 않아,
오픈 라이선스를 갖고 있는 위키피디아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정했습니다.

기술적 과제

틀릴 시 나오는 힌트 제공에도 비짓제주 제공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

  • 원본: 산방산 남쪽, 가파도가 보이는 바닷가에 솟은 산은 송악산이다.
    • 기대: 산방산 남쪽, 가파도가 보이는 바닷가에 위치한다.
  • 원본: 송악산은 일제강점기 일본군의 군사기지로 강제 동원된 제주 사람들의 고통이 담긴 곳이다. 해안가 절벽에는 일본군이 만든 인공동굴 15개가 있다.
    • 기대: 해안가 절벽에는 일본군이 만든 인공동굴 15개가 있다.
    • 기대: 일제강점기 제주 사람들의 참상을 돌아보는 비극적인 현장이다.

마킹한 위치를 틀릴 때마다 나타나는 힌트 UI

*비짓제주에서 제공하는 전체 1,520 장소 중에 잘 알려진 주요 여행지만 추려도 약 500여개 이내로 추정

🤔 여러 지역에서 위치 정보가 담긴 단어 에 대한 마스킹 처리가 어떻게 가능할까요?

➡️ 우선 문자열을 탐색하여 *** 별표로 치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역할

  • PM & 게임 기획 및 UI 디자인: 김무훈
  • 웹 기반 인터페이스 및 인터렉션 구현: 지다원, 이원석

제작 계획

  1. 앞서 이야기한, 게임 인터페이스 기획 - 초안 완성 ✅
    • 작업 중: 맞춘 뒤/타임 오버 인터페이스 (여행지 상세 정보 보여주기)
  2. 게임 데모 시험적 구현(Proof of Concept)
    • 웹 개발 사전 학습 기간(4주): 팀 구성원 모두 웹 UI 개발이 처음
    • 웹 기반 게임 구현 기간(4주): 목업 관광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게임 서비스를 구현
  3. 데모로 구축한 게임 서비스에 실제 관광 데이터 연결하기

당신은 제주도내 지역을 얼마나 알고있나요?

어데메 🗺️🔍

 끝

심볼 원본 (MIT 라이선스): https://github.com/ohmyjeju-painkiller/design

당신은 제주도내 지역을 얼마나 알고있나요? - 어데메 🔍

By Mu Hun

당신은 제주도내 지역을 얼마나 알고있나요? - 어데메 🔍

제주대 컴퓨터공학전공 캡스톤I 프로젝트 제안서입니다 내용에 대한 무단 이용을 금합니다. https://github.com/eodeme/eodeme

  • 65